요즘은 남자들도 요가나 필라테스 수강에 인기가 많아졌다. 52시간 근무제 도입으로 워크 앤 라이프 밸런스가 떠오르면서 흔히 쇠질이라 부르던 헬스장에서 덤벨 바벨로 운동하는 웨이트 트레이닝보다 필라테스나 요가 수강이 예전보다 많이 늘었다. 우리가 흔히 필라 테스라 고하면 타이트한 레깅스복 입은 여성들이 주로 하는 운동이라고 많이 떠올린다.
필라테스의 역사는?
그럼 필라테스의 역사를 잠시 살펴보면 필라테스의 역사는 독일의 스포츠 연구가 조셉 필라테스(Joseph H. Pilates 1883-1967)로 부터 시작되었다. 어릴 적 병을 앓아 허약했던 조셉은 자신의 질병을 운동을 통해 극복해낸다. 그가 운동을 통해 자신의 몸을 치유하였 듯, 제1차 세계대전 당시 포로수용소에서 포로들의 치유를 위하여 다양한 운동 방법을 고안하였고 그것이 필라테스의 역사가 시작된 원형이 되었다. 조셉 필라테스의 부모는 체조선수 아버지, 자연 요법사 어머니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가 어릴 적부터 운동에 관심을 갖고 자신의 질병을 극복할 수 있었던 것에는 부모의 영향도 있었을 것이다.
동양의 요가와 선(禪), 고대 로마 및 그리스에서 행해지던 양생법 등을 접목하여 만든 것으로 반복된 동작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신체 단련 운동이다. 육체적으로 단련시킨 몸을 이완하고 이를 통해 활력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목표이며 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동양적인 기운의 흐름을 도입하였다. 그러므로 단순한 스트레칭이라고 볼 수 없고 일부 정신 수양적 특성을 보유한 것으로 여겨진다. 조셉은 운동, 운동의 우수성 및 정신훈련을 통해 체육을 옹호하는 광범위한 운동인 물리 문화의 지지자이자 교사로 경력을 시작한 사람입니다. 1883년생인 그는 1913년 영국으로 가서 서커스 텀블러로 일을 했습니다. 1914년 여름 제1차 세계 대전이 발발했을 때, 조셉은 독일인이라는 이유로 랭커스터에서 강제 수용을 당하게 되었습니다.
그는 수용소라는 좁은 공간 안에서 할 수 있는 효율적인 운동법을 개발하였으며, 호흡을 기초로 건강 회복 프로그램으로 일련의 매트 운동을 기초로 수용자들에게 그의 운동법을 가르쳤습니다. 그는 기존의 건강, 보디빌딩 프로그램을 체계화하였으며 매트에서 할 수 있는 컨디셔닝 프로그램을 발전시켜, 당시 치명적인 유행성 바이러스의 감염으로부터 수용자들을 지킬 수 있었습니다. 그 후 필라테스의 운동법이 인정받아 수용소 환자들을 돌보는 일을 맡게 되었으며, 그곳에서 필라테스는 환자들의 불편한 팔다리의 재활을 위해 스프링을 장착한 침대 안에서 할 수 있는 운동을 고안하였습니다.
이때 고안한 방법이 바로 저항 운동입니다. 저항을 통한 운동법은 부상 후 재활하는데 큰 도움이 되었으며, 후에 유니버설 리포머(Reformer)가 탄생한 계기라 할 수 있습니다. 또한 스프링이 장착된 이 침대는 캐딜락(Cadillac) 이라는 기구로 매트 운동 기구의 기초가 되었습니다.
필라테스는 고대 그리스 양생법의 기초가 되는 동작이며 고대에 가장 유행한 양생법 9가지는
1. 경락经络: 경락마사지로 경혈을 자극해 질병을 예방하고 오장육부를 자극해 소화 기능을 촉진했다.
2. 음식饮食: 올바른 식사 습관을 통해 기를 보충하고 氣를 보강하고 질병을 예방하고 수명을 연장했다.
3. 정혈精血: 정혈을 통해 피를 맑게 해야 오장육부의 기능이 정상적으로 유지된다고 믿었다.
4. 순시顺时: 시기마다 다른 기후에 따라 만물이 규율을 잘 준수해야 건강할 수 있다고 믿었다.
5. 감독减毒: '독'을 줄여야 건강할 수 있다고 믿었는데 고대인들에게 ‘독’은 급격한 감정 변화로 인한 음양의 조화 및 기혈의 균형 파괴, 과로로 인한 기력 부진 등 백 병의 근원을 뜻했다.
6. 정신静神: 단 수련의 호흡과 수양을 통해 마음을 맑게 해야 오장이 편안하고 심장과 폐와 신장에 병이 없다고 여겼다.
7. 수신修身: 건강하고 장수하려면 먼저 착한 일을 많이 하고 몸과 마음을 수양해야 한다고 믿었다.
8. 조기调气: 건강을 유지하려면 유기체인 인체의 여러 방면의 균형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며 지나친 것은 금물이라고 여겼다.
9. 진보进补: 보약을 마셔 음양의 조화를 맞추고 장 기능을 강화하고 기운을 북돋고 피를 맑게 했다.
이런 양생법까지 비추어 보았을 때 필라테스는 반복된 운동과 연속 동작을 통해 근육을 운동시키며 통증 없이 근육을 강화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특히 아랫배와 엉덩이 부분을 '파워하우스'라 명명하고 이 부분이 에너지의 원천이 된다고 여긴다. 모든 동작에 고유의 호흡 패턴을 접목하여 운동 효과를 최대화하고 있다. 몸의 파워하우스 강화로 자세 교정과 구체적인 근력 강화로 유연성을 향상하며 몸의 긴장을 풀어준다. 이를 통해 상해를 방지하고 재활에도 효과가 있다. 심폐 능력과 순환기 능력을 강화시키는 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마음을 차분히 가라앉히는 과정을 통해 긴장 해소와 스트레스 감소에도 좋은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남자분들도 보디빌딩 혹은 웨이트 트레이닝과 필라테스를 겸해서 훈련하면
좋은 결과를 가져올 수 있을 거라 생각한다.
'인생리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어의 테러(terror)라는 말은 로베스피에르의 공포정치에서 유래했다한다. 좌파·우파란 말도 프랑스혁명 때 생겨난 용어다. (0) | 2020.02.27 |
---|---|
피에 굶주린 야수 로베스 피에르 (1) | 2020.02.24 |
대한민국 수도권 집값은 정상인가? 비정상인가? (0) | 2020.02.23 |
도대체 군대는 몇년도 군번이 가장 힘들었을까? (0) | 2020.02.19 |
수면장애, 불면증 꼭 프로포폴이 필요한가? (0) | 2020.02.16 |
댓글